강의목표 및 기대효과 |
- 지역문화콘텐츠 제작의 일환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전설, 신화, 문화재 등의 유/무형의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새롭게 스토리텔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문화에 대해 바르게 알고 공동체 의식과 자긍심을 향상킬 수 있다.
- 팀워크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력과 연대 그리고 사회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|
강의소개 및
주요내용 |
- 그림책의 개념과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.
- 스토리 구성에 대해 배우고 직접 글을 써본다.
- 우리 마을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알아보고 소재를 구성하며 글감을 찾아 직접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려서 그림책으로 제작한다. |
차시 |
강의 주제 |
강의내용 |
준비물 |
1 |
오리엔테이션 |
- 인사 및 자기소개
- 팀워크 향상을 위한 협동과 리더십 놀이 |
|
2 |
그림책이란? |
- 그림책 놀이를 통해 그림책의 개념과 특징 탐색 |
|
3 |
스토리 구성 |
- 이야기의 스토리 구성을 배우고 이야기 다 시쓰기 |
필기도구 |
4 |
우리 마을 탐색-1 |
- 내가 좋아하는 우리 마을 소개
- 우리 마을을 소개하는 광고문 만들기 |
|
5 |
우리 마을 탐색-1 |
- 우리 마을의 전설, 신화, 문화재를 탐색하 고 마을 지도 만들기 |
|
6 |
스토리텔링 구성-1 |
- 우리 마을의 전설, 신화, 문화재 중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여 스토리 구성하기 |
|
7 |
스토리텔링 구성-2 |
- 스토리 구성안을 토대로 글쓰기(동화창작) |
|
8 |
스토리 수정-1
이미지 구성-1 |
- 창작된 스토리 합평 및 수정하기
- 스토리와 어울리는 이미지 구성하기 |
|
9 |
스토리 수정-2
이미지 그리기-2 |
- 수정한 스토리 합평 및 퇴고하기
- 스토리와 어울리는 이미지 그리기 |
|
10 |
스토리 수정-3
이미지 수정-3 |
- 창작한 스토리 최종 원고 작성하기
- 이미지 완성하기 |
|
11 |
작은 출판 기념회 준비 |
- 완성된 그림책에 대한 추천사 작성 및 발표 준비를 위한 스피치 연습 |
|
12 |
작은 출판 기념회 |
- 내가 만든 우리 마을 그림책 낭독
- 우리 마을 그림책 만들기 수업 감상문 발표 |
|